지난 호에서는 겨울철 온도 급강하에 대비한 엘리베이터 관리 준비사항을 알아보았다면 이번호에서는 겨울철 화재, 응급상황발생에 대비한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승강로가 굴뚝이 된다
겨울철에는 난방과 온수 사용 등으로 화재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만일 화재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는 굴뚝 역할을 하게 되어 가연성 물질을 가진 유독가스가 대량으로 유입된다.
더불어 화재로 인한 건물 내 전원이 차단될 경우, 엘리베이터가 정지되면서 승강로를 통해 유입된 유독가스가 카 내로 들어와 목숨까지 위태로울 수 있다.
따라서 건물 화재 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해서는 안 되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비상계단을 이용해 신속하게 대피해야 한다. 건물관리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건물 내의 모든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으로 불러들여 카 내에 승객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엘리베이터의 문을 닫고 전원 스위치를 꺼서 운행을 정지시켜야 한다.
만약 엘리베이터 기계실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전기기기용 소화기를 사용하여 소화에 주력하면서 카 내에 탑승해 있는 승객에게 인터폰을 통해 화재 상황을 알리고, 피난층으로 카를 유도하여 승객을 내리게 한 다음 엘리베이터의 전원스위치를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시켜야 한다.
안전하지 않으면 운행되지 않는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는 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적으로 운행에 필요한 안전조건이 갖춰지지 않으면 운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층에 설치된 승강장 도어 중 한 층의 도어가 열려 있거나 이상이 발생되면 움직이지 않고, 운행 중이더라도 승객의 안전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안전장치가 동작해 카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렇듯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정지되는 것은 안전 시스템 상 이상이 발견된 것이기 때문에 유지관리업체의 안전점검이나 수리가 필요하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이러한 신호를 무시하거나 임시방편적인 조치로 넘어간다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철저한 안전점검이 필요하다. 특히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갑작스런 한파 등으로 전자기기나 기계장치의 고장이 발생해 카가 층과 층 사이에 정지하고 승객이 카 내에 갇히는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승객을 안심시키는 것이 우선
승객이 카 내에 갇히면 건물관리자는 인터폰 또는 카가 멈춘 가장 가까운 승강장에서 구두로 ‘구출활동 중이다’, ‘카 내는 외부와 공기가 잘 통하고 추락할 위험은 절대 없으니 침착하게 기다리면 안전하게 구조된다’는 사실을 알려 승객을 안심시키고 ‘강제로 엘리베이터 문을 열거나, 문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몇 사람이 갇혀 있는지 응급환자는 없는지를 파악한 후 승강장 위치 표시기에 나타난 층으로 가서 실제로 카가 그 층에 정지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유지관리업체나 119구조대가 도착하면 사전에 파악된 정보를 전달해 승객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어떤 경우에도 승객을 안심시키는 것이 우선
엘리베이터가 경미한 고장으로 정지된 경우 엘리베이터 주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면 중앙처리장치(CPU)가 리셋(Reset)되면서 다시 엘리베이터 운행이 재개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카 내 행선층 버튼이나 승강장 호출버튼을 누르면 카가 운행되면서 승객을 바로 구출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CPU의 리셋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된다고 해서 다시 정상적으로 운행을 시키면 안 되고 승객구조 후 운행을 정지시킨 다음, 유지관리업체의 점검을 받고 이상유무를 확인한 후 다시 운행을 재개해야 한다.
기온이 많이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사람도 추운 겨울을 맞이하기 위해 월동 준비를 하듯이 엘리베이터 역시 안전한 겨울나기를 위해 철저한 안전점검과 유지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다시 보기 승강기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베이터의 운행은 전자동 방식만 필요할까? (0) | 2019.01.07 |
---|---|
겨울철 한파에 대비한 승강기 안전관리 (0) | 2019.01.07 |
2018년 가장 많이 발생한 승강기 사고와 예방 대책 (0) | 2019.01.07 |
노후승강기에 대한 고민과 교체 절차 (0) | 2018.12.11 |
승강기 정지스위치는 필요할까? (0) | 2018.12.11 |
겨울철 많이 발생하는 승강기 사고 및 예방대책 (0) | 2018.12.11 |
엘리베이터 상승과속 및 개문 출발방지 안전장치 (0) | 2018.11.05 |
엘리베이터에 특정 숫자가 없는 이유 미신일까 징크스일까? (0) | 2018.11.05 |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월동준비 (0) | 2018.11.05 |
덤웨이터에서 자주 발생하는 승강기 사고사례 (0) | 2018.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