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대용량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등장하는 <레지던트 이블 : 댐네이션>

대용량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등장하는
레지던트 이블 : 댐네이션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는 좀비 영화계의 가이드북이라 불릴 정도로 재미와 스릴을 잘 버무려 만들어진 작품으로 ‘밀라 요보비치’가 주연을 맡아 적잖은 마니아 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번 호에 다룰 영화는 「레지던트 이블:댐네이션(Resident Evil:Damnation, 2012)」으로 크게 인기를 거두었던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의 애니메이션 버전 속 화물용 승강기이다.


글 이동희(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대외협력실 실장)

 

 

 

 

이 영화는 「Biohazard」라는 게임이 원작이다. 원작의 이름으로 출시하려 했으나 동명의 록밴드가 이미 상표등록을 해놓아 「레지던트 이블」이라는 명으로 미국시장에 진출했는데 이 이름이 영화에까지 쓰이게 되었다.


「레지던트 이블:디제너레이션」에 이어 두 번째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으로 영화에서는 ‘밀라 요보비치’가 역할을 맡은 앨리스가 주축이 되어 전개되는 반면, 애니메이션은 ‘레온 S 케네디’를 원톱으로 쓰고 있다.

 

구소련 붕괴 이후 우후죽순 독립하는 나라 중 가상의 국가 동슬라브 공화국을 배경으로 하는 이 애니메이션은 거의 실사와 가까운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레지던트 이블: 댐네이션」의 줄거리
급격한 자유화로 자본주의가 빠르게 들어선 나라, 동슬라브 공화국. 빈부의 격차는 갈수록 심해져 결국 내전을 불러일으킨다. 정부군은 반군을 소탕하기 위해 병력을 집중시키고 전력에서 열세를 극복하기 위한 반군은 생물병기 리커를 사용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CIA는 휴가중인 특수대원 레온을 호출하여 동슬라브 공화국으로 급파한다.

 

 

대용량의 화물용 엘리베이터

이 영화에서는 대용량의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등장한다. 보통 자동차를 운반하는 엘리베이터는 2.5t에서 3.5t사이이고, 전시장이나 미술관등에는 매우 큰 용량의 엘리베이터(10t은 우습다)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도 아래서 위로 열리는 방식으로 승객용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방식이다. 레온이 거대한 B.O.W(Bio Organic Weapon)를 피해 달아나는 수단이 화물용 엘리베이터다.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정격하중은 카의 면적 1㎡ 당 25㎏으로 계산한 값 이상으로 하고 자동차용 엘리베이터의 정격하중은 카의 면적 1㎡ 당 150㎏으로 계산한 값 이상으로 한다.

 

즉, 승객용보다 같은 용량이라면 면적을 조금 더 허용한다는 얘기다. 그러므로 화물용이나 자동차용 승강기에 승객을 가득 태워서 이용하면 절대로 안 된다.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영화에 나오는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포함하여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도어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동차용처럼 대형화물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카 실의 출입구 전체가 개방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직개폐도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승강장도어는 카 도어와 동시에 개폐할 필요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카 도어만 구동장치에서 개폐하고, 승강장도어는 카 도어와 기계적으로 맞물려 동시에 개폐된다.

 

그러나 수직개폐도어에서는 계합장치가 복잡하기 때문에 각 승강장에도 구동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화에서 나오는 수직개폐식 문과 관련된 검사기준은 아래와 같다.

 

 

[7.5.2.2 수직 개폐식 문]
이 형식의 개폐문은 화물용에만 적용되어야 한다. 동력 닫힘은 다음 3가지 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져야 한다.

 

가) 문짝의 평균 닫힘 속도는 0.3㎧로 제한되어야 한다.
나) 카문은 8.6.1에 규정된 것과 같은 구조이어야 한다.
다) 문이 닫히는 동안 사람이나 물건이 끼이거나 끼려고 할 때 자동으로 문이 반전되어 열리는 문닫힘안전장치가 있어야 한다. 다만 반자동 동력 작동식 문인 경우에는 제외한다.

비고 문닫힘안전장치로 센서가 사용될 경우에는 카 내부와 승강장에 각각 있어야 한다.(2015년 5월13일 이후 건축허가분부터 적용)

 

 

영화와 비교해서 본다면 금상첨화

이 애니메이션을 즐겁게 감상하기 위해서는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를 영화로 다 찾아보는 것을 권한다. 그래야만 이 영화의 진정한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의 여섯 번째인 「더 파이널 챕터」에 한국배우 이준기가 캐스팅되어 나온다고 하니 자못 기대가 된다.

 

 

 

게임에서 영화로, 애니메이션으로-무궁무진한 이야기의 힘


이야기의 힘은 참으로 무궁무진하다. 일본도 만화산업이 발달한 나라이다. 한 때는 소니와 닌텐도가 게임으로 세계를 쥐락펴락 했었다. 지금은 다소 주춤해 있으나 만화산업이 베이스가 되어 꾸준히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렇게 원작은 게임이나 영화로, 애니메이션으로 파생되는 이유는 스토리의 힘이다. 아시아를 넘어 한류가 위세를 펼치고 있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한류를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밑거름이 될 자양분과 같은 스토리산업에 대한 투자가 절실히 요구된다.

 

다행인 것은 일부 웹툰 작가들이 국내외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어 한국의 스토리시장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 이는 번외적인 이야기이지만 매우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된다.

 

 

 

 

❖ 도어 시스템
도어시스템의 형식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숫자는 도어의 문짝 수, S는 측면개폐, CO는 중앙개폐를 나타낸다.


(1) 수평개폐도어
- 측면개폐도어: 1매 측면개폐(1S), 2매 측면개폐(2S), 3매 측면개폐(3S)
- 중앙개폐도어: 2매 중앙개폐(2CO), 4매 중앙개폐(4CO)
(2) 수직개폐도어
- 상승개폐도어: 1매 상승개폐, 2매 상승개폐, 3매 상승개폐
- 하개폐도어: 2매 상하개폐
(3) 여닫이도어
- 측면스윙개폐도어: 1매 스윙개폐
- 중앙스윙개폐도어: 2매 스윙개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