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시 보기 승강기 안전

승강기 관리부실로 발생하는 고장 유형과관리 요령

승강기는 수직 교통수단으로 자동차만큼이나 우리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이동수단이 된 지 오래다. 대부분의 이동수단(자동차, 선박, 비행기 등)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운전자에 의해 운행되지만 승강기는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조작하여 운행되므로 안전관리가 더욱 요구된다. 이번 호에서는 관리부실로 발생하는 고장 유형에 대해 알아본다.

조정 불량으로 인한 고장
관리주체는 승강기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지관리업체의 자체점검을 통하여고 승강기를 관리하게 한다. 그래서 승강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유지관리업체의 자체점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행정안전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아직도 일부의 유지관리업체들이 자체점검을 형식적으로 하거나 아예 하지 않고 허위로 보고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품 이상 및 노후로 인한 고장
대부분의 유지관리업체는 자체점검 및 관리를 성실히 수행하고 점검중 문제가 있는 부품을 발견하거나, 내구 연한이 다되면 관리주체에게 알리고 교체하도록 권고한다. 그런데 일부 관리주체들은 금전적인 문제, 유지관리업체에 대한 불신 등의 이유로 부품 교체 시기를 미루다 반복 고장이 발생하거나, 사고가 발생하여야만 교체하여 문제가 발생된다.

 

이물질 끼임 고장
승강기의 갇힘 고장에는 출입문이 닫히거나 열리지 않아 발생하는 고장이 많다. 원인을 살펴보면 출입문 개폐장치 노후나 부품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출입문에 이물질이 끼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겨울철 기온이 많이 떨어지면 과속조절기로프에서 나온 기름때가 풀리에 굳어 전기안전장치를 작동시키면서 갇힘고장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관리주체의 일상점검이나 유지관리업체 자체점검 시 청소만 잘해주면 해소되는 고장이다. 승강기 점검 및 관리의 기본이 청소라는 말도 있다.
승강기의 안전은 이용자, 관리주체, 유지관리업체, 검사자 어느 누구 하나의 노력으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모두가 안전의식을 갖고 세심하고 철저한 관리와 이용자의 올바른 사용이 안전한 승강기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