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에 탑승할 때 누르는 승강장 버튼은 카의 위치와 상관없이 내려갈 때는 ‘하향’ 버튼, 올라갈 때는 ‘상향’ 버튼을 누르는 것을 상식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가 현재 층보다 아래에 있으면 ‘상향’, 위에 있으면 ‘하향’을 누르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이러한 경우 카 안에 탑승자가 없으면 관계없지만 탑승자가 있는 경우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엘리베이터는 사용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운전방식을 적용하는데 이번호에서는 대표적인 운전방식을 소개한다.
단일 자동운전 (Single Automatic Operation)
승강장과 카의 버튼 하나에 대해서만 응답해 자동으로 작 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카 또는 승강장 버튼이 눌려지면 다른 버튼을 입력해도 첫번째 버튼에 대한 응답이 완료될 때까지 카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운전방식이다. 화물용, 자동차용, 소형 엘리베이터에 많이 사용되는데 자 동차처럼 부피가 큰 화물이나 무거운 화물이 실려 있는 경 우 다른 층에서 추가로 사용을 불가능하게 해서 앞선 사용 자가 작업이 끝날 때까지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율 적이기 때문이다. 소형 엘리베이터도 탑승 공간이 제한적 인 특성상 추가 탑승이 곤란한 상황이 대부분이므로 먼저 탑승한 승객을 서비스한 후 비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층 호 출에 응답하는 것이 효율적이라서 이 방식을 적용한다.
비선택적 집합 자동 운전 (Non-Selective Collective Automatic Operation)
승강장 호출버튼 및 카의 등록버튼이 등록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자동 작동하는 운전을 의미한다. 진행 방향 에 관계없이 2, 5, 3, 4층 순서로 등록이 되었다면 진행방 향에 3, 4층이 있어도 통과하여 5층을 서비스한 후 3, 4 층 순서로 운전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단일 자동운 전’ 방식과 같은 이유 때문에 화물용 및 소형 엘리베이터 에 많이 사용되는데 대기하는 사용자가 많은 경우 먼저 누른 순서대로 차례를 배정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선택적 집합 자동 운전 (Selective Collective Automatic Operation)
승강장 층에는 ‘UP’ 및 ‘DOWN’ 버튼으로 행선 방향을 선택하고, 카에 탑승해서 원하는 층을 등록하여 자동으 로 운전하는 방식이다. 카 내 버튼에 의한 등록 및 승강 장 버튼에 의한 호출 전부 입력된 순서와 관계없이 진행 방향에 있다면 모두 서비스한다. 일반적으로 단수의 승 객용 엘리베이터에 가장 널리 적용하는 방식이다.
하강 집합 전자동식 (Down Collective Automatic Operation)
승강장에서는 ‘UP’ 및 ‘DOWN’ 중 ‘DOWN’ 버튼만 있어 서, 중간층에서 위층으로 가는 경우에는 1층으로 내려가 서 다시 올라가는 운전방식이다. 공동주택처럼 중간층에 서 위층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거의 없는 경우에 적용한 다. 승강장에 버튼 하나만 설치하므로 비용 절감효과가 있고, 승강장의 하강방향 대기자가 상승버튼을 잘못 눌러 서 불필요하게 카가 정지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연속 누름 운전 (Continuous-Pressure Operation)
카 및 승강장에 ‘UP’ 및 ‘DOWN’ 버튼을 설치하고 이 버 튼 중 하나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카가 운전되며 손을 떼면 정지하는 조작방식을 말한다. 이 운전 방식은 카가 개방된 형태의 휠체어리프트에 주로 적용하는데 신체 의 일부나 물건이 끼일 경우 즉시 반응해 카가 멈추게 하 기 위함이다.
이렇듯 엘리베이터에는 다양한 운전방식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안전한 탑승을 고려하여 문의 닫힘 시간을 길 게 하는 등 엘리베이터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잠시 기다려주고 배려하는 마음의 여유를 기대해 본다.
'다시 보기 승강기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김영기 이사장 취임 1주년 인터뷰 (0) | 2019.04.03 |
---|---|
승강기 안전을 위한 안전관리자의 역할 (0) | 2019.02.08 |
엘리베이터 버튼 배열의 과학 (1) | 2019.02.08 |
먼지가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미치는 영향 (0) | 2019.02.08 |
신뢰할 수 있는 승강기 유지관리업체 선정요령 (0) | 2019.01.07 |
겨울철 한파에 대비한 승강기 안전관리 (0) | 2019.01.07 |
2018년 가장 많이 발생한 승강기 사고와 예방 대책 (0) | 2019.01.07 |
노후승강기에 대한 고민과 교체 절차 (0) | 2018.12.11 |
승강기 정지스위치는 필요할까? (0) | 2018.12.11 |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월동준비 ⑵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