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과 소음으로 손상 여부 파악
기어식 권상기의 감속기
엘리베이터의 감속기는 한번 문제가 생기면 개선하기 어렵기 때문에 평상 시 철저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이번 호에서는 기어식 권상기의 감속기에 대해 알아본다.
글 김승룡(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대외협력실 팀장)
권상기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와이어로프를 사용하여 사람이 탑승하고 있는 카를 끌어올리거나 내려주는 전동기를 이용한 동력장치로서 감속기가 부착된 기어(geared)식(그림 1)과 전동기의 회전축에 권상 도르래(main sheave)를 직접 부착시킨 무기어식(gearless)(그림 2)으로 구분되며 전동기, 감속기, 브레이크, 기계대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식 권상기에서 감속기는 크게 웜기어와 헬리컬기어가 주로 사용되는데 웜기어는 중저속, 헬리컬기어는 고속기종에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전동기의 회전은 커플링(제동기 드럼)을 통해 기어 샤프트에 전달되며, 휠에 의해 감속되어 주도르래를 엘리베이터의 필요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감속기 운행 시 샤프트와 휠의 맞물림으로 발생되는 진동이 기어 휠과 연결된 주도르래에 전달되고 전달된 진동은 주로프를 타고 카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권상기가 설치되는 기계대에는 [그림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방진패드가 설치되게 된다.
기어식 권상기
Managing Knowhow 1 윤활유의 유량을 확인하라!
감속기 케이스 측면에는 유면계(Oil Level Gauge)가 있는데 유면계 중심의 빨간점까지 윤활유가 채워져 있는지 매월 점검이 필요하다. 윤활유가 유면계의 중앙보다 낮은 경우 각 부위의 윤활이 충분치 못하여 기어 및 베어링 등이 손상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Managing Knowhow 2 기어 케이스, 커버부 등 접합부에 누유가 있는지 점검하라!
기어 케이스의 맞춤면 커버 취부면에는 액상 가스켓 및 오링(O-ring)을 사용하고 축부에는 누유가 되지 않도록 오일씰을 사용하고 있는데 장기간 사용할 경우 누유가 발생되게 된다. 특히 축부에 설치된 오일씰에서 누유가 발생될 경우 전동기와 기어 샤프트를 연결해 주는 커플링(제동기 드럼)에 누유된 오일이 유착되면서 커플링에 연결돼 제동기 라이닝에 오일이 묻게 된다. 때문에 축부의 오일씰이 누유될 경우 교체하는 것이 좋다.
무기어식 권상기
Managing Knowhow 3 급유기 커버는 반드시 닫아 놓자!
기어케이스에는 감속기 오일을 보충할 수 있는 급유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통해 감속기 마모상태, 치합, 점식 상태 등의 점검을 실시하게 되는데 점검 후 급유기 커버를 닫지 않을 경우 금속편이나 이물질의 혼입으로 기어 및 베어링 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Managing Knowhow 4 윤활유를 정기적으로 교환하라!
윤활유의 교환 시기는 운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교체주기를 정의할 수 없으나, 감속기 제조업체에서는 최초 설치된 후 500시간(약 2개월)이 지나면 최초 오일을 교환해 주고 그 후 매 8개월 마다 교환해 주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오일의 점도가 낮아질 경우 윤활효과가 떨어져 기어 또는 베어링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므로 정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또한 감속기는 샤프트와 휠의 맞물림이 발생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데 소음이 심하게 발생될 경우 소음의 정도를 가지고 어느 정도 손상된 부위와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소음의 정도에 따른 손상 예측
1. 규칙적인 소음: 샤프트와 휠의 치 접촉 불량, 베어링의 손상 의심
2. 높은 금속음: 베어링 손상, 기어 손상
3. 불규칙적인 소음: 이물질 침입, 베어링 손상
'지난호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문화 정착 저해하는 '압력' 찾기 (0) | 2015.04.20 |
---|---|
한국승강기인재개발원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0) | 2015.04.17 |
설계도면 자동 작도법 (0) | 2015.04.16 |
서부로 향하는 관문, 세인트 루이스 '게이트웨이 아치' (0) | 2015.04.15 |
조속기의 안전성 시험 (0) | 2015.04.15 |
사업승인일과 개정검사기준 적용 (0) | 2015.04.07 |
유리 보호 몰딩의 재질 (0) | 2015.04.07 |
장애인 승강기 사용 막기 위한 버튼 덮개 (0) | 2015.04.07 |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로부터의 구출 (0) | 2015.04.07 |
승안원, 미취학 아동 안전교육 '체험용 승강기' 지원 (0) | 201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