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벌어주는 승강기
엘리베이터 경제학
엘리베이터는 대부분 건물과 같이 시작해서 건물이 수명을 다할 때까지 이용되는 설비이다. 건물의 생애주기와 함께 하며 경제성에 영
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인 엘리베이터. 빌딩 관리의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어떤 점들이 고려돼야 할지 건물의 생애 주기별로 알
아보도록 한다.
■ 글 / 박응구
(코리아엘리베이터컨설팅㈜ 대표)
IMF 이후 대부분의 분야에서 경제적인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하고자 노력해 왔다. 특히, 2000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침체된 건설 산업에서는 각 분야별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시도했다. 건축주는 공사비를 줄여 건물을 지으려고 하고 시공사는 원가를 절감하여 이윤을 높이려고 했다. 따라서, 토목, 건축, 구조, 설비 등 규모가 큰 분야부터 효율화를 시도하며 최근에는 승강설비 즉,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덤웨이터, 주차설비 등도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은 모든 건축관계자에게 건물의 모든 생애주기 동안에 승강기에 대하여 경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건축관계자는 건축주, 시행사, 건축사, 시공사, 건물관리업체, 자산관리업체, 건물 이용자 및 상주자들을 모두 포함한다. 우리 모두가 여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건축생애주기와 엘리베이터는 어떠한 경제적인 관련이 있을까?
<표 1> 건물 생애주기 별 승강기 경제성 분석
<표1>에서와 같이 건축의 생애주기는 최초에 건축계획부터 건축설계, 건축 시공하여 준공 이후에는 건물관리, 임대, 매각을 거쳐서 시간이 지나면 리모델링하여 최후에는 건물을 철거하는 단계로 크게 나눌 수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건축물의 생애주기 전체적으로 엘리베이터는 항상 같이 진행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가 건축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고 볼 수 있고 어떻게 보면 건축물과 같은 생애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건축 단계별로 엘리베이터는 어떠한 경제성이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건축계획 및 설계 단계에는 공용 면적인 코어면적을 줄여야 전용면적이 늘어나므로 코어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것과 맞물려서 엘리베이터를 최적화시켜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건축 시공단계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건축 시공비 중에서 엘리베이터 금액이 작은 부분이 아니며 그 비용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시공단계에는 건축공기의 절감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시공기간 동안 엘리베이터를 잘 이용한다면 시공기간 및 시공 비용도 줄일 수 있고 고품질의 자재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선정하고 시공하느냐에 따라 소비전력절감, 원가절감 및 건물의 가치 상승에 도움을 주는가를 결정한다.
그 다음은 준공 이후 건물 유지관리 시 엘리베이터의 유지관리는 이야기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유지관리를 위하여 유지보수 계약을 어떻게 철저하게 효율적으로 잘 하는가에 따라서 장기간의 유지보수 기간 동안에 추가비용 없이 최소 비용으로 고품질의 엘리베이터 성능을 얻을 수 있는가가 결정되므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당연히 유지보수를 잘 하게 되면 소비전력도 절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건물의 임대나 매각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승강기의 리모델링은 준공 후 20~25년 사이에 이루어지는데 교체공사 시에는 정확한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여 교체범위를 최소화시키고 전문적인 시방서 작성 및 우수한 업체선정과 시공관리를 통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고의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리모델링에 의하여 성능향상 및 소비전력 절감으로 입주자 편의성 및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의 교체주기가 크게 늘어나면서 유지관리비용도 절감이 가능하다.
이러한 각 단계별 경제성 확보를 위하여서는 승강기업체 이상의 기술력이 밑받침이 되지 않으면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각 단계별 진행 시 엘리베이터 전문 컨설팅을 통하여 이러한 경제성 확보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향후에도 엘리베이터 경제성은 모든 건축관계자들에게 큰 이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엘리베이터 경제학 부분에서 앞으로 더 많은 전문가와 연구가 필요하다.
<표 2> 건축 생애주기 별 경제성 Diagram
'지난호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블로그의 초상권과 저작권 (0) | 2014.08.03 |
---|---|
행복의 주인 (0) | 2014.07.05 |
승강기, 아는 만큼 안전하다! (0) | 2014.07.05 |
현대엘리베이터 30년 그 역사와 함께 하다! - 김태욱 현대엘리베이터 기원 (0) | 2014.07.05 |
고성능 엘리베이터 전자회로의 일사병 과학의 힘으로 해결하기 (0) | 2014.07.05 |
승강기 회생전력으로 에너지 절약하기 (0) | 2014.07.05 |
최상층 승강장문을 제거 시 주의사항 (0) | 2014.07.03 |
‘즉시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의 적용 (0) | 2014.07.03 |
제어반과 전동기만 교체 시 로프브레이크 설치 불필요 (0) | 2014.07.03 |
조명등 설치 위치 (0) | 2014.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