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에서의 모션컨트롤의 역할
모션컨트롤 제품들은 승강기 곳곳에 사용되어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엘리베이터를 탑승할 때 이 부품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보고 모션컨트롤 기술이 승강기 분야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함께 살펴본다.
■ 글 / 윤진근 (이오문화사㈜ 기자)
모션컨트롤, 승강기를 컨트롤하다
승강기 앞에서 버튼을 누르면, 컨트롤 패널(제어반)에서 사용자가 호출한 층까지 이동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이에 따라 모터가 윈치를 작동시켜 도르래를 움직인다(이 도르래 역시 대표적인 모션컨트롤 응용사례 중 하나다). 센서 및 컨트롤러가 사용자가 원하는 층에 다다랐다는 신호를 보내면, 컨트롤 패널은 다시 모터에 정지 명령을 보내고, 장치가 멈추게 된다. 사용자가 탑승할 때는 센서가 작동함으로써 과적이나 문에 끼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안전하게 탑승하고 나면 문이 닫힌다. 사용자가 안쪽에서 원하는 층수를 누르면, 승강기 내부와 연결되어있는 컨트롤 패널로 신호가 전달되고, 모터가 회전하면서 장치를 움직인다. 원하는 층수에 정확히 도착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에 센서가 부착되기도 한다. 원하는 층에 도착하면 컨트롤 패널이 장치를 멈추고, 문을 연다. 사용자가 안전하게 하차하면 다시 문을 닫는다.
모션컨트롤과의 시너지
그렇다면 모션컨트롤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승강기 분야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현존하는 기술들을 바탕으로 그 앞날을 살펴볼 수 있다.
▶ 안전한 승강기: 점차 안전센서와 컨트롤러를 도입하는 승강기가 늘고 있다. 현재 모션컨트롤에 사용되는 안전센서 및 컨트롤러는 ‘Category 4’ 등의 규격을 충족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안전 장비와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대표적으로 터크코리아의 XS26-2 세이프티 컨트롤러 등이 있다). 산업용 장비를 일반장비에 대입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운행 시 사고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하고 있다.
▶ 더 빠른 승강기: 감속기와 모터를 합친 일체형 제품이 일반화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있는 64인승 승강기(하이젠모터의 감속기를 장착했다)라든지, 대만 타이페이 101 빌딩(509m·101층)에 설치된 승강기(분속 1010m, 초속 16.85m를 자랑한다. 도시바가 만들었다) 등의 초고속 승강기를 만들 수 있는 요인이다.
▶ 스마트한 승강기: 최근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승강기가 각광받고 있다. 기기가 고장나거나 사용자가 호출하기 전에 제조업체에서 먼저 장비의 손상이나 마모 등을 확인하고, 이상이 발생했을 때 실시간으로 상주하는 직원이 문제를 해결한다. 이는 모션컨트롤 및 공장자동화 시장에서 선보이던, 휴대기기를 활용한 작업이나 통제센터 개념과 흡사하다.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와 현대엘리베이터 등이 선뵈고 있는 ‘스마트 서비스’는 점차 많은 업체들로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컨트롤러가 점차 정교해짐에 따라 예방정비(사물의 수명과 작동주기 및 작동시간 등을 측정하는 방식)에서 예측 정비(문제가 생기기 전에 오류로 이어지는 행동을 분석 및 피드백)로 바뀌어갈 가능성이 높다. 센서 등을 통해 장비의 문제를 감지하고 이 정보를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예방보수를 실현할 수도 있다.
'지난호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에 봄! 자연이 차려내는 밥상 위의 성찬 (0) | 2015.03.11 |
---|---|
신학기, 학교 폭력으로부터 우리 아이 지키기 (0) | 2015.03.11 |
승강기 설치인력난, 함께 고민해야할 때 (1) | 2015.02.13 |
시설물 안전성 제고를 위한 최근 정부 정책과 향후 건설시장 전망 (0) | 2015.02.13 |
기발한 승강기가 만드는 새로운 미래 (0) | 2015.02.13 |
엘리베이터 랩핑광고를 통한 스마트마케팅 (0) | 2015.02.13 |
에스컬레이터용 스텝의 안전성 시험 (0) | 2015.02.13 |
근린생활시설 내 엘리베이터의 이탈방지장치 의무 설치 외 (0) | 2015.02.10 |
안전스위치와 안전브러시 설치 (0) | 2015.02.10 |
동일한 공간 내 구동기와 제어반 설치 (0) | 201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