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신소재를 이용한 승강기 디자인


신소재를 이용한 승강기 디자인



디자인이 곧 회사 성공의 열쇠가 된 시대에 살고 있다. 기술력은 물론 감성까지도 섬세하게 잘 녹여내야 비로소 소비자의 선택을 받게 되는 요즘 승강기도 이런 추세에 발맞춰 단순히 운송수단으로서가 아닌 고객니즈를 고려한 소재, 가공방법 등이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한다.


글 박응구(코리아엘리베이터컨설팅㈜ 대표)







시대별 승강기 인테리어 소재 변화 추이


1980년대 _ <표1>에서와 같이 연간 1인당 국민소득의 변화에 따른 승강기 인테리어 소재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연간 1인당 국민소득이 4,900달러에 불과한 1980년대에는 가장 기본적인 소재인 도장강판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을 주로 사용하였다.

1990년대 _ 연간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불이 된1990년 중반이 되어가는 동안 도장강판은 거의 사라지고 스테인리스스틸에 에칭(Etching), 미러(Mirror)또는 비드 블라스트(bead-Blast) 등 표면처리기법이개발되어 조금 더 고급스러운 느낌을 나타냈으며,1998년에 이르러 아트 그래픽 또는 티타늄 이온도금, 바이브레이션(Vibration) 표면가공 처리 기법이개발되어 고급스러움과 견고성을 고려한 소재가 적용되었다.



2000년대 _ 1999년에는 하이그로시 코팅(High Glossy Coating), 엠보싱(Embossing) 또는 목재나 대리석, 브론즈(Bronze) 등을 이용한 카 내부 인테리어가 유행하여 2000년 중반까지 주로 적용되었다.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불이 넘어간 2007년 이후에는 기존의 단순한 스테인리스스틸에 표면처리를 하거나 단순 인테리어에 의한 디자인에 식상함을 느끼고 2000년 후반기에 들어서는 해외로 눈을 돌리게 되어 수입품 소재를 적용하게 되었다. 브론즈 메탈(Bonded Metal), 아키텍처 메탈(Architectural Metal), 퓨즈드 메탈(Fused Metal),게이지 케스트(Gage Cast), 메탈 페브릭(Metal Fabric), 텍스처 스테인리스스틸(Texture stainless steel), 리지드 메탈(Rigid Metal), 와이어 매쉬(Wire mesh) 등을 적용하여 보다 세련된 이미지와 건물의 독특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계속해서 신규로 개발되는 해외 업체의 소재를 발굴하여 적용해 왔다.








승강기 디자인의 제약 요소


기존에 승강기는 차가운 느낌이므로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은 항상 긴장되고 좋지 않은 느낌을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제는 승강기도 기존에 기계적인 운송수단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으로 다시 태어나는 계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면 기존에는 어떻게 승강기 디자인이진행되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기존에 승강기 디자인은 대부분 승강기 업체 또는 인테리어 시공업체에서 디자이너를 보유하고인하우스(In-House) 디자인으로 디자인 안을 작성하여 시공사 및 발주처에 제안하여 결정하는 절차로 진행되어왔다. 여기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미 계약을 완료된 승강기 업체 입장에서는 계약 및 품질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장비를 납품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최대한의 이윤을 얻으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업의 입장이므로 승강기 디자인을 제안할 때에 이런 점이 반영되지 않을 수 없으며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면 앞으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생길 것이다. 당연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인하우스 디자인에서 제3의 전문 승강기디자인컨설팅 업체에게 건축주와 시공사 및 승강기 업체의 중심의 위치에서 건축주가 지불한 비용을 최대한 사용하여 최상의 디자인 품질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절차의 변화가 필요하다.

승강기는 이제 단순한 수직운송수단이 아닌 건물의 가치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의 감성, 안전,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범죄예방, 테라피 등 기능성을 포함하여 디자인 되어야 한다. 따라서 승강기 인테리어 소재도 이러한 부분을 만족시키기 위한 개발이되어야 한다.




승강기 인테리어 소재 및 디자인의 향후 방향


최근에는 LED, 디지털, 글라스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스마트폰, 가전제품에 적용하여 고급스러움을 극대화 한 글라스의 적용이 보편화되었다. 따라서 건물에 들어와서 가장 먼저 접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고급스러우면 그 건물에 대한 품질도 같이 높게 평가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도어에도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에 탈부착이가능한 구조를 개발, 글라스 스틸 도어(Glass SteelDoor)라는 새로운 개념의 소재가 승강기 디자인 시장에 탄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벽체 또는 천정조명에 LED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글라스 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였다. 기존의 승강기 인테리어는 고정된 개념이었던 것에 비해 최근에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LED로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동적인 디자인 개념을 실현하였다. 이것은 마케팅 기능, 엔터테인먼트, 테라피, 범죄예방, 안전성, 감성 디자인 등 여러 방면에서획기적인 개념으로 승강기 디자인 발정 방향에 큰 이슈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