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잘하면 승강기 더 오래 쓴다!
노후승강기 관리 노하우
승강기는 유지관리를 잘 하면 20년 이상 사용할 수 있지만 유지관리를 소홀히 하면 일반적으로 다른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보다훨씬 빨리 교체하거나 전면적인 수리공사를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특히 노후승강기의 경우 주요 부품의 한계수명을 파악하는 등 더욱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글 이창용(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컨설팅사업단 단장)
우리나라는 지난해 2월에 승강기 50만대를 돌파했으며 금년 2월에는 53만여 대를 초과하여 명실상부 승강기강국이 되었다. 승강기는 하루 종일 쉴새 없이 움직이는 기계로서 잠시도 휴식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다른 장치에 비해서 상당히 악조건에서 운행이 되는 셈이므로 큰 관심을 기울여서 관리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매년 3천여 대의 승강기가 전면 교체되고 있으며 평균교체 연한은 18~20년 사이다.
2000년대 초 대부분의 승강기는 1990년대 이전에 설치된 교류방식으로 평균교체 연한이 16~17년이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승강기에도 상용화된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의 적용으로 승강기의 평균수명 또한 길어지고 있다. 다음은 노후 승강기에 대해 특별히 주의해야 할 승강기 관리요령이다
기계실 관리 개선
[사진 1] 먼지로 오염된 기계실
승강기의 기계실은 사람의 머리와 심장 또는 자동차의 엔진에 해당하는 권상기와 제어장치 등 핵심적인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으로 다른 어느 공간보다 철저한 관리를 통해 승강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사진 1]의 경우와 같이 권상기가 설치된 기계실 공간이 청결상태가 불량하면 기계실에서 발생한 먼지와 오염물 등이 권상기와 제어반으로 유입되어 기기의 노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사진 2] 빗물이 유입된 기계실
[사진 2]의 경우는 기계실 관리를 철저히 하지 못해 기계실 바닥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주요 부품인 도르래가 부식되고 로프의 손상이 입은 예이다. 사진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계실의 공간은 엘리베이터의 수명을 연장시
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뿐 아니라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진 제어반이 먼지나 오물로 인한 고장을 예방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친다.
[사진 3] 미세먼지에 뒤덮인 전동기 [사진 4] 에폭시 마감한 기계실 바닥
[사진 4]는 기계실 바닥을 에폭시 마감하여 [사진 3]과 같이 전동기 내부에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방지하고 기계실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한 방안이다.
부품의 적기 교체
승강기가 노후화 될수록 주요 부품의 수명은 한계수명에 다다르기도 하며 마모도는 급속도로 빨라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15년 이상 된 노후승강기에 대한 제조업체의 부품 재고 보유도가 낮아지는 시기이다. 따라서 [사진 5]와 같이 제어반의 주요 부품의 수명을 사전에 예측하여 교체하지 않고 고장이나 한계수명 이후에 정지하여 부품을 교체한다면 승강기의 장기간 운행정지로 인해 이용자의 많은 불편이 초래할 수 있기에 충분히 여유를 두고 교체해야 할 것이다.
아래의 표는 승강기의 안전관리를 위한 주요 부품에 대한 일반적인 수명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 승강기 부품의 예측수명은 안전관리를 위한 참고자료입니다.
☞ ■ 기술표준원 연구자료 관련 ■ 주택법 규칙제26조제1항 자료 관련
■ 기타 참고(참고문헌: Roger E. Howkins 「Lift Modernization Design Guide」)
승강기 노후화에 따른 권상 능력 확인 및 하중 검출 장치의 조정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승강기가 노후화 될수록 주요 부품의 내구성이 떨어져 점점 마모되거나 파괴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 능력 또한 초기의 제품처럼 100%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 한 가지가 적재된 하중(승객이나 화물)을 끌어올리는 권상능력이다. 예를 들어 적재하중이 1,000㎏(15인승)인 승강기가 권상능력의 저하로 인해 100% 능력을 발휘하지 못해 풀로드(Full Load) 탑승했을 때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권상능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하중감지장치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사진 6] 카하부에 설치된 방지고무의 경화
또한 [사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승객의 오르내림에 의해 방지고무의 탄성으로 카를 움직이며 하중을 감지해야 하나 카하부에 설치된 방지고무의 경화로 인해 1,000㎏(15인승)의 경우 10명만 탑승해도 오버로드(Overload)가 감지되어 부저가 울려 운행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방진고무의 적정교체가 필요하며 견인력에 대한 보상이 필요한 경우에 조치가 필요하다.
노후승강기 중장기수선계획 수립
앞에서와 같이 기계실 관리, 부품의 적정교체, 권상능력 확인 및 하중검출장치의 조정 등을 통해 승강기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림 1]을 참고하여 노후승강기에 대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 1] 예측 설비 보존의 개념도에서와 같이 승강기는 노후화로 인해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1차 경고에 주의하여 부품의 적정교체가 필요하며 2차 경고 시에는 교체 또는 전반적인 설비보수가 필요하므로 많은 투자가 필요한 승강기의 대수선공사에 대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지난호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승과속방지장치용 브레이크의 안전성 시험 (0) | 2015.05.13 |
---|---|
엘리베이터의 생명줄 '와이어로프' (0) | 2015.05.13 |
승강기 기계실 검사기준 (0) | 2015.05.13 |
비상용엘리베이터의 운행층 (0) | 2015.05.13 |
도어이탈방지장치의 안전성 기준 (0) | 2015.05.13 |
신분당선 지원시설팀 (0) | 2015.05.11 |
동작종합사회복지관 노인 승강기 안전교육 현장 (0) | 2015.05.11 |
경기도 팔당물환경전시관 팔당전망대 (0) | 2015.05.11 |
세계에서 가장 돈 많이 버는 승강기, 에펠탑 엘리베이터 (0) | 2015.05.11 |
CF '연애의 프로' & 개콘 '이개세' (0) | 201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