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원 시 통과, 고장 시 자동 착상…
승강기 주요 기능과 시공사항
그동안 공동주택에서 승강기를 교체할 경우 중요한 기준이 되는 시방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일반관리와 기계실, 승강로, 카 등 각 부분의 안전성 기준과 안전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이번호와다음호에서는성능의기준과시공사항에대해설명하고자한다.
글 이창용(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컨설팅사업단장)
1. 카 바닥
2. 카주
3. 카 상부보
4. 판넬
5. 천정판
조립공정
주목할 만한 승강기 기능
승강기 부분도 전자분야와 소프트분야의 발달로 인해 예전의 승강기보
다는 기능적인 면에서 훨씬 우수한 기능들을 많이 추가하고 있는 추세
이다. 주목할 만한 몇 가지 기능을 소개한다.
가. 만원 통과 기능 : 엘리베이터가 만원정격하중의 85%이 되면 승강장 호출에 응답하지 않고
통과
나. 도어 단락검출 기능 : 정상운전 상태에서 착상구간 범위 내에 있는 카 도어 승강장 도
어 중 어느 곳에서나 도어스위치 접점이 끊어지거나 인위적으로 단락된 경우 이를 감
지하여 강제로 엘리베이터 운행 정지
다. 고장 시 최하층 또는 근접층 자동 착상기능 : 일시적인 가벼운 고장으로 층과 층 사이
에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였다가 원인이 해소되어 안전상 문제가 없으면 자동적으로 근
접층까지 저속 주행 정지하여 갇힘 사고 방지단, 안전 회로, 안전장치의 작동 및 정전의 경우 제외
라. 버튼 등록 취소 기능 : 카 내 운전반 버튼에 등록된 부름을 취소하고자 할 경우 해당 부
름 버튼을 한 번 더 누름으로서 취소할 수 있는 기능
마. 절전기능 : 엘리베이터가 30분 이상 정지되어 있을 경우 카 내 조명과 환기 휀 등이 자
동 소등되고 승강장 호출버튼 동작과 동시에 점등단, 엘리베이터가 고장상태로서 정지중일 때는 소
등되지 아니하고 점등 상태로 유지바. 자동안내 방송 : 엘리베이터 도착층 및 운행상황을 음성으로 안내
사. 과부하 검출기능 : 적재하중을 초과하면 경보를 울리고 출입문의
닫힘을 자동적으로 제지정격 적재하중의 105~110%에 작동
권상기 설치 조정
시공사항
사전조사
공급자시공업체는 설치공사 전에 다음 사항에 대한상태를 조사하고 설계에 반영하고 공사 전에 확인
하도록 하여야 한다.
1. 승강로 부분
가. 각층 출입구
나. 각층 승강장 버튼 및 위치표시등 취부용 구멍 뚫기
다. 각층 출입구 실sill 취부용 돌출부 공사1층 및 교체대상 층
2. 기계실 부분
가. 기계실 진입 통로 및 출입구 설치 위치
나. 기계실 바닥의 양중구, 로프 구멍 뚫기
다. 기계실 바닥 철강빔재 설치공사
라. 기계실 통풍장치 위치
마. 기계실 분전반, 조명, 바닥 닥트 등 전기장치
3. 옥상 주민 이동 통로
가. 이동 통로 설치 방향
나. 옥상 장애물 확인
* 특히 기계실 부분은 향후 교체공사 시 권상기나 제어반이 양중하여 들어갈 수있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필요시 양중구나 출입구 공사도 필요하며 최상층 주민들의 이동을 위한 통로에 대한 검토도 필요함
기계실공사
1. 기계실바닥
가. 전기배관, 플로어닥트 및 풀박스 등은 기계실의 바닥면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 기계실 바닥의 권상용 로프 구멍으로 기계실에서 발생된 소음이승강로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음용 닥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2. 기계실 기기 배치
가. 현장 여건에 의하여 각 기기 위치의 변경이 필요할 때는 발주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나. 기계실 바닥에 양중구가 있는 경우 추락의 위험을 막을 수 있도록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3. 기계대 설치
가. 기계실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된 받침대는 재사용을 하고 권상기용 받침대는 견고히 설치한다.
나. 기계대 빔의 끝단 4개소는 날카롭지 않게 마무리하고, 수평상태를 확인 후 기계대 빔 플레이트를 볼트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기계대 빔과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다. 용접은 접촉면 전 둘레에 하며, 용접 부위의 높이는 3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라. 기계대 빔을 서로 연결시키는 일정규격의 앵글L형강을 용접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4. 기기 설치
가. 전동기, 권상기, 조속기, 제어반 등은 정확히 설치하고 지진기타의 진동에 의해 이동·전도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나. 권상기와 기계대 사이에 설치되는 방진고무는 권상기의 형식과 적용 인승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5. 기계실 소음 대책
기계실 내에서의 소음이 승강로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각종 로프 구멍 부분에 차음용 닥트를 시공하며, 로프 구멍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지난호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력발전기 내 서비스리프트 그 안전성은? (1) | 2013.06.11 |
---|---|
반짝반짝, 아이디어가 빛나는 승강기 특허기술 (0) | 2013.06.11 |
여행의 기술 (0) | 2013.06.11 |
여행, 에스컬레이터로 즐기다 (0) | 2013.06.11 |
승강기시설안전관리법상 제조업 및 수입업의 등록 절차 (0) | 2013.05.08 |
수송능력 설정과 일주운행시간 계산 (0) | 2013.05.08 |
MRL 엘리베이터 (1) | 2013.05.08 |
‘한국승강기 인재개발원’개소 승안원 현장 전문인력 양성 (0) | 2013.05.08 |
유럽안전기준EN 적용한 새 승강기검사 Start! (0) | 2013.05.08 |
효율적 통합으로 운영되는 유럽의 승강기 안전제도 (0) | 201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