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과 물류의 수직이동을 위한 제4교통수단
승강기, 용도와 특성에 따른 종류
육상, 해상, 항공교통인 제1, 2, 3교통수단 외에 건축물 내의 승객과 물류를 수직 이동해 주는 수직이동 수단인 제4교통수단 승강기. 하루 이용객과 그 사용 빈도는 엄청나다. 인류의 생활편의를 위해 안전하게 승객과 물류를 수직 이동하게 해주는 수직교통수단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특성으로 개발되어 왔다.
■ 글 / 김운영 (ISO/TC178 WG10위원, 한국엘리베이터협회 회장,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대표이사)
건축물 내의 수직교통수단
▶ 승객용 엘리베이터: 안전, 편리, 신속, 쾌적하게 승객을 층간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건축물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탑승 시 조망을 겸할 수 있는 전망형으로도 설치된다. 가장 빠른 속도로 운행되지만 가장 부드러운 가감속 및 최상의 승차감과 안전하고 정밀한 착상을 목표로 첨단 기술이 개발 적용되어 왔다. 현재는 분당 1천m 이상의 고속 엘리베이터가 개발되어 시설되고 있다. 구동방식 및 제어특성은 과거 AC 2, DC 기어드 방식에서 AC기어레스 VF기종으로 발달되어왔다.
▶ 병원용 엘리베이터: 침대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카의 형태가 길게 제작되며 성능과 구동방식 제어특성은 승객용과 유사하다.
▶ 화물용 엘리베이터: 화물운반을 목적으로 제작·설치되며 주로 전기식 기어드 VF 기종 및 유압식 기종이 있다. 저층 저속 고하중용으로 사용빈도가 적고 기계실을 상부에 배치하기 어려운 경우 유압식으로도 설치된다.
▶ 카리프트: 자동차를 빌딩 내 주차장으로 입출 시키기 위하여 기어드 및 유압식으로 제작 설치된다.
▶ 덤웨이터: 주로 주방이나 도서운반 등을 목적으로 AC 1 기종으로 제작 설치되며 어떠한 경우에도 승객은 탑승할 수 없다.
▶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많은 승객을 층간 이동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며 에스컬레이터 설치각도는 35도 이하, 무빙워크는 12도 이하로 설치된다. 기종은 기어드 AC VF로 주로 설치된다.
▶ 더블데크엘리베이터: 한 개의 승강로에 두 개의 탑승카가 두 개의 층에 동시에 승객을 탑승시키는 구조이며 기종은 승객용과 같다.
▶ 오케스트라리프트: 공연시설의 오케스트라를 승하강시키는 대형용량의 리프트이며 주로 유압식으로 설치된다.
▶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사용빈도나 가동시간 및 시설운행환경이 일반건축물에 비하여 높은 강도로
장기간 운행되거나, 탑승하중이 반복 고하중인 경우 설계기준을 사용조건에 합당하게 높여서 제작·설치된다.
▶ 소형 엘리베이터: 일반규격의 승강기보다 소형으로 제작되어 노약자 등의 탑승을 목적으로 제작·설치된다.
▶ 오토리프트: 일정한 승강로와 운행구간을 별도의 운전조작 없이 자동으로 감지하여 운행되는 자동 운반용 승강기로 산업시설 등에 주로 전기식 기어드 기종으로 설치·사용된다.
야외 환경의 수직교통수단
▶ 옥외 전천후형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승객용 컨베이어: 눈, 비, 먼지, 햇빛, 사계절 외부온도 및 불
순물 등에 그대로 노출되는 환경에 설치 운행되는 승강기로 해당 기능을 구비하도록 제작·설치하여 운행된다.
▶ 옥외 전천후형 경사형 승강기: 경사형 엘리베이터, 후니쿨러, 산악열차, 지하터널용 경사형 엘리베이터 등이 있으며 안전한 운행과 변화가 큰 외부 환경에서 승객의 안전을 위한 기능이 다중으로 구비되어 있다.
▶ 케이블카: 고강도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수직교통수단으로 다양한 장소에 설치·운행되며 전망을 위한 탁월한 구조 특성을 제공하나 고장 시 대처가 어렵고 강풍에 취약한 구조이다.
▶ 스키리프트: 케이블카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승강시스템이다.
함정 및 항공기 내의 수직교통수단
▶ 방진형 승객용, 화물용 엘리베이터: 건축물에 설치되는 승강기와 달리 XYZ방향으로 움직이는 함정 및 항공기 내의 승강기는 방진구조로 설치 운행된다.
▶ 방진형 덤웨이터: 함정 및 항공기 내에 설치되어 화물운반에 사용되는 승강기이다.
▶ 폭발물운반용 엘리베이터: 주로 전함에 설치되어 포탄 및 폭발물을 운반하는 엘리베이터로 내진 및 방폭은 물론 방수형 성능을 갖는 특수용도 엘리베이터이다.
▶ 항공기용 엘리베이터: 항공기의 이착륙 및 격납 이동을 목적으로 제작·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이다.
기타 특수용도승강기
▶ 방폭형 엘리베이터: 폭발성 가스 또는 시설환경에 설치·운행된다.
▶ 방습형 엘리베이터: 습기 또는 물에 노출되는 환경에 설치·운행된다.
▶ 내진형 엘리베이터: 지진 발생 시에도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특수하게 제작·설치된다.
▶ 피난용 엘리베이터: 고층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에도 인명을 피난하기 위하여 특수한 성능을 갖도록 제작·설치된다.
▶ 자체구동 수직수평이송시스템: 수직 및 수평으로 3차원 이동되는 특수 승강시스템이다.
▶ 케이지 복수구동 엘리베이터: 한 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케이지를 입출시키는 특수한 시스템의 엘리베이터로 승하강하는 케이지 외에 승강장으로 이동된 케이지에 승객 및 화물을 입출하는 시스템을 갖는다.
제4교통수단으로 불리는 수직교통기술의 발달은 인류의 산업발달과 안전하고 편리한 수직이동의 편익을 제공해 오고 있다. 이제 승강기는 승객 및 물류를 승하강시키는 편리함을 초월하여 생활의 필수 기기이며 행복하고 안전한 삶의 질에도 영향을 끼치는 휴먼테크놀로지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시대가 되었다. 특히 한국은
높은 인구밀도에 의한 도시화가 가속되면서 고층 건축물과 승강기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밀접한 국가가 되었다. 이제 메카트로닉스 기반이 우수한 한국이 인류의 생활편의 및 안전을 위한 승강기의 혁신기술분야에서 제4교통수단의 글로벌 선도 국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지난호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정지층의 승강장문 설치 기준 (0) | 2014.08.03 |
---|---|
일반용 승강기의 피트에 유도 배수로 또는 배수시설 설치 불가 (0) | 2014.08.03 |
중소기업 승강기업계 해외시장의 개척자 - 모든엘리베이터 (0) | 2014.08.03 |
여름철, 지하철 에스컬레이터 몰카, 안심해도 될까요? (0) | 2014.08.03 |
한 사람 생명까지 도둑질해간 기판 도둑 (0) | 2014.08.03 |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관리부실과 사고 (0) | 2014.08.03 |
엘리베이터 피트는 어디에? <쓰리데이즈 투 킬> (0) | 2014.08.03 |
황영조, 김원기 승강기엑스포 홍보대사 안전캠페인 (0) | 2014.08.03 |
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 승강기안전결의대회 (0) | 2014.08.03 |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광주지원 치매노인 가정 봉사활동 (0) | 2014.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