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승강기, 용도와 특성에 따른 종류

승객과 물류의 수직이동을 위한 제4교통수단

승강기, 용도와 특성에 따른 종류

 

육상, 해상, 항공교통인 제1, 2, 3교통수단 외에 건축물 내의 승객과 물류를 수직 이동해 주는 수직이동 수단인 제4교통수단 승강기. 하루 이용객과 그 사용 빈도는 엄청나다. 인류의 생활편의를 위해 안전하게 승객과 물류를 수직 이동하게 해주는 수직교통수단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특성으로 개발되어 왔다.


■ 글 / 김운영 (ISO/TC178 WG10위원, 한국엘리베이터협회 회장,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대표이사)

 

 

건축물 내의 수직교통수단

▶ 승객용 엘리베이터: 안전, 편리, 신속, 쾌적하게 승객을 층간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건축물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탑승 시 조망을 겸할 수 있는 전망형으로도 설치된다. 가장 빠른 속도로 운행되지만 가장 부드러운 가감속 및 최상의 승차감과 안전하고 정밀한 착상을 목표로 첨단 기술이 개발 적용되어 왔다. 현재는 분당 1천m 이상의 고속 엘리베이터가 개발되어 시설되고 있다. 구동방식 및 제어특성은 과거 AC 2, DC 기어드 방식에서 AC기어레스 VF기종으로 발달되어왔다.


▶ 병원용 엘리베이터: 침대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카의 형태가 길게 제작되며 성능과 구동방식 제어특성은 승객용과 유사하다.

 

▶ 화물용 엘리베이터: 화물운반을 목적으로 제작·설치되며 주로 전기식 기어드 VF 기종 및 유압식 기종이 있다. 저층 저속 고하중용으로 사용빈도가 적고 기계실을 상부에 배치하기 어려운 경우 유압식으로도 설치된다.

 

▶ 카리프트: 자동차를 빌딩 내 주차장으로 입출 시키기 위하여 기어드 및 유압식으로 제작 설치된다.


▶ 덤웨이터: 주로 주방이나 도서운반 등을 목적으로 AC 1 기종으로 제작 설치되며 어떠한 경우에도 승객은 탑승할 수 없다.


▶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많은 승객을 층간 이동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며 에스컬레이터 설치각도는 35도 이하, 무빙워크는 12도 이하로 설치된다. 기종은 기어드 AC VF로 주로 설치된다.


▶ 더블데크엘리베이터: 한 개의 승강로에 두 개의 탑승카가 두 개의 층에 동시에 승객을 탑승시키는 구조이며 기종은 승객용과 같다.


▶ 오케스트라리프트: 공연시설의 오케스트라를 승하강시키는 대형용량의 리프트이며 주로 유압식으로 설치된다.


▶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사용빈도나 가동시간 및 시설운행환경이 일반건축물에 비하여 높은 강도로
장기간 운행되거나, 탑승하중이 반복 고하중인 경우 설계기준을 사용조건에 합당하게 높여서 제작·설치된다.

▶ 소형 엘리베이터: 일반규격의 승강기보다 소형으로 제작되어 노약자 등의 탑승을 목적으로 제작·설치된다.


▶ 오토리프트: 일정한 승강로와 운행구간을 별도의 운전조작 없이 자동으로 감지하여 운행되는 자동 운반용 승강기로 산업시설 등에 주로 전기식 기어드 기종으로 설치·사용된다.

 

 

야외 환경의 수직교통수단

▶ 옥외 전천후형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승객용 컨베이어: 눈, 비, 먼지, 햇빛, 사계절 외부온도 및 불
순물 등에 그대로 노출되는 환경에 설치 운행되는 승강기로 해당 기능을 구비하도록 제작·설치하여 운행된다.

 

▶ 옥외 전천후형 경사형 승강기: 경사형 엘리베이터, 후니쿨러, 산악열차, 지하터널용 경사형 엘리베이터 등이 있으며 안전한 운행과 변화가 큰 외부 환경에서 승객의 안전을 위한 기능이 다중으로 구비되어 있다.


▶ 케이블카: 고강도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수직교통수단으로 다양한 장소에 설치·운행되며 전망을 위한 탁월한 구조 특성을 제공하나 고장 시 대처가 어렵고 강풍에 취약한 구조이다.

▶ 스키리프트: 케이블카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승강시스템이다.

 

 

함정 및 항공기 내의 수직교통수단

▶ 방진형 승객용, 화물용 엘리베이터: 건축물에 설치되는 승강기와 달리 XYZ방향으로 움직이는 함정 및 항공기 내의 승강기는 방진구조로 설치 운행된다.


▶ 방진형 덤웨이터: 함정 및 항공기 내에 설치되어 화물운반에 사용되는 승강기이다.


▶ 폭발물운반용 엘리베이터: 주로 전함에 설치되어 포탄 및 폭발물을 운반하는 엘리베이터로 내진 및 방폭은 물론 방수형 성능을 갖는 특수용도 엘리베이터이다.


▶ 항공기용 엘리베이터: 항공기의 이착륙 및 격납 이동을 목적으로 제작·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이다.

 

 

기타 특수용도승강기

▶ 방폭형 엘리베이터: 폭발성 가스 또는 시설환경에 설치·운행된다.


▶ 방습형 엘리베이터: 습기 또는 물에 노출되는 환경에 설치·운행된다.


▶ 내진형 엘리베이터: 지진 발생 시에도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특수하게 제작·설치된다.


▶ 피난용 엘리베이터: 고층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에도 인명을 피난하기 위하여 특수한 성능을 갖도록 제작·설치된다.


▶ 자체구동 수직수평이송시스템: 수직 및 수평으로 3차원 이동되는 특수 승강시스템이다.


▶ 케이지 복수구동 엘리베이터: 한 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케이지를 입출시키는 특수한 시스템의 엘리베이터로 승하강하는 케이지 외에 승강장으로 이동된 케이지에 승객 및 화물을 입출하는 시스템을 갖는다.

 

 

제4교통수단으로 불리는 수직교통기술의 발달은 인류의 산업발달과 안전하고 편리한 수직이동의 편익을 제공해 오고 있다. 이제 승강기는 승객 및 물류를 승하강시키는 편리함을 초월하여 생활의 필수 기기이며 행복하고 안전한 삶의 질에도 영향을 끼치는 휴먼테크놀로지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시대가 되었다. 특히 한국은
높은 인구밀도에 의한 도시화가 가속되면서 고층 건축물과 승강기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밀접한 국가가 되었다. 이제 메카트로닉스 기반이 우수한 한국이 인류의 생활편의 및 안전을 위한 승강기의 혁신기술분야에서 제4교통수단의 글로벌 선도 국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