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 접수된 고장 통계를 분석한 결과 기계실 부품 이상으로 발생된 고장이 41.4%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계실에 설치된 부품 중 제어반은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컨트롤 타워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날씨가 더워지는 여름철에는 제어반 내 부품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제어반 내 설치된 냉각장치 작동상태 확인
제어반에는 많은 반도체 소자들이 조립된 안전 회로 기판이 설 치되어 있는데 반도체의 수많은 회로들은 전기의 흐름으로 작동 하게 된다. 이때 열이 발생하는데 온도가 과다하게 상승하면 반 도체는 오동작을 일으키고 심할 경우 반도체 소자가 손상되므 로, 제어반에는 방열판과 쿨러를 장착해 열을 밖으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냉각하게 된다. 만약 제어반 내 방열판과 쿨러가 고장 으로 작동이 원활하지 않으면 기계실 온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에 제어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연산 오류 등의 오동작이 발 생될 수 있으므로 방열판과 쿨러 작동상태 여부를 확인해야 하 며, 기계실의 온도가 40도가 넘지 않도록 기계실 환기장치 또한 점검이 필요하다.
정전기 발생시키는 먼지 오염 제거
기계실의 경우 각종 회전체가 많고 주 로프 및 조속기 로프 하향 구 때문에 승강로 안의 먼지 및 분진 등이 공중으로 날리게 된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에는 수많은 불순물이 섞여 있고 그 중 에는 전기가 흐르는 물질도 포함되어 있다. 이 먼지들이 회로 기 판 위에 쌓이게 되면 통전에 의한 충격으로 부품을 손상시키고 상호 마찰을 일으켜 정전기를 유발해 반도체가 손상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정전기는 온도가 높거나 습도가 낮은 경우 발생되기 쉽다. 승강기 운행 중 정전기가 발생하면 반도체 소자의 오동작을 유 발하여 고장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실이나 승강로의 먼 지를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이때 진공청소기, 붓이나 솔로 먼 지를 제거할 경우 정전기의 전기 방전을 일으켜 더 위험할 수 있 으니 먼지 제거 전용 세정제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다.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 및 제어용 계전기 수명 확인
제어반에는 제동기 작동용 전자접촉기, 안전스위치 작동용 계전 기 등이 안전 회로 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on’, ‘off’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자접촉기 및 계 전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 접촉자는 마모가 발생된다. 따라서 자체점검을 통한 정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이때 접촉자의 한 계수명을 넘어 사용하게 되면 접촉자 상호 간에 접촉 표면의 부 식, 경도 저하, 접촉 면적 부족 등으로 접촉자 융착, 용단, 코일 소손, 절연 불량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체 점검 시 전자접촉기의 접점 상태 및 작동 시 떨림이나 아크 발생 유무 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며, 전자접촉기 교체 시 교체일을 전자접촉기에 기록해 관리하면 수명 예측에 도움이 된다.
'다시 보기 승강기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컬레이터 조명의 숨은 기능 (0) | 2018.09.04 |
---|---|
엘리베이터 비상잠금 해제 열쇠로 인한 사고예방 (0) | 2018.09.04 |
관리 부실로 인한 승강기 사고사례 및 예방대책 (0) | 2018.09.04 |
건축물의 피난시설, 계단의 설치기준 (0) | 2018.08.02 |
에스컬레이터 한 줄 서기의 역설 (0) | 2018.08.02 |
자연재해로 인한 승강기 사고 및 고장 (0) | 2018.08.02 |
대피통로의 최종 목적 지점, 출구 (0) | 2018.07.09 |
에스컬레이터 노란선의 비밀 (0) | 2018.07.09 |
장마철에 챙겨야 할 승강기 점검사항 (0) | 2018.07.09 |
음주와 관련된 승강기 사고 (0) | 2018.07.09 |